이용후기
해외호텔
해외자유여행
허니문여행
국내숙박
내륙여행
제주여행
국내 지역별 여행정보
자연관광지
테마거리
음식점
숙박시설
쇼핑시설
유원지
문화재
문화시설
지역축제정보
모두보기
도/특별시
시/구/지역
총
5429
건의 여행정보가 있습니다.
[ 능/묘소 ]
강화학파 정제두 묘
(인천시 강화군)
정제두에 연원을 두고 강화와 일정한 관련을 가지면서 조선 양명학을 강학하였던 학맥을 “강화학파”라 부르고 그들의 학문을 ‘강화학’이라 부른다. 조선후기 유학자이자 양명학자인 정제두(1649~1736)는 강화를 중심으로 새로운 학풍을 형성하였다. 강화학의 인맥은 혈연으로 이어져 학문적 연대를 같이 하였으며 주변에 여러 학자와 문인을 포용하였다. 강화..
[ 유적지 ]
강화해협 관문 초지진
(인천시 강화군)
○ 초지진(사적 제225호) 이곳은 강화해협의 초입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선 효종 7년(1656)에 진(鎭)부대를 창설하였고, 숙종 5년 (1679)에는 초지돈대, 장자평돈대, 섬암돈대를 축조하여 이진에 소속시켰다. 진(鎭)은 규모가 가장 큰 군사시설이며 강화해협을 따라 중요한 위치 5곳에 배치하였다. 병인, 신미양요를 치르고 난 후 고종 11년(1..
[ 서원 ]
강화향교
(인천시 강화군)
향교는 지방에 있는 문묘와 거기에 부속된 학교이다. 교궁(校宮) 또는 재궁(齋宮)이라고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담당했으나 교육기능은 사라지고 지금은 대부분 제사의 기능만 남아있다. 강화여자 고등학교 교문을 들어서면 먼저 강화향교가 보인다. 향교와 여학교는 무슨 관계가 있었기에 대문을 같이 쓰..
[ 능/묘소 ]
강희맹 선생 묘 및 신도비
(경기도 시흥시)
조선시대의 무신이자 한국 최초의 농학자인 강희맹(1424∼1483)의 묘이다. 강희맹의 자는 경순, 시호는 문량, 호는 사숙재·국오·운송거사·무위자·만송강이며 본관은 진주이다. 강희안의 아우로 1447년(세종 29)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후 이조 좌랑을 거쳐 집현전 직제학·이조판서·병조판서·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세조의 총애를 받아 ..
[ 유원지 ]
개군레포츠공원
(경기도 양평군)
개군 레포츠 공원은 아이들이 즐겁게 놀 수 있는 놀이터와 넓은 운동장, 농구장, 테니스장 등의 운동공간을 갖추고 있다. 또한 게이트볼을 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맑은 공기, 아름다운 자연속에서 몸과 마음을 달련시키고 편안한 휴식을 가질 수 있다. ○시설 축구장:1면,게이트볼장,족구장,농구장,국궁장 ○면적 24,150㎡
[ 유적지 ]
개마고원 반공유격대 위령탑
(경기도 파주시)
1945년 08월15일 해방과 더블어 38선 이북이 공산치하가 되어 그학정에 저항, 뜻있는 젊은이들이 모여 개마고원일대에서 반공유격전을 벌이다 투사들이 수없이 공산도배들의 총칼에 희생 되었다. 후일 6.25 동란으로 생존자 일부가 남하 당시 유격대장이던 김봉이 개마고원유격대 기념사업회를 건립, 국가의 지원으로 희생된 분들의 영생을 기리기 위해 탑을 세웠..
[ 사찰 ]
개목사 원통전
(경상북도 성주군)
개목사 원통전은 조선 세조3년에 건립되었다 한다. 측면에서 볼 때 전면으로 퇴간을 달아 맞배지붕의 박공면이 전면으로 길게 나와 있다. 공포는 전, 후면이 다른 수법으로 되었는데, 전면은 출목없이 익공형으로 조각되었고 후면은 1출목을 두어 외목도리를 받게 하였다. 내부는 연등천장으로 상부가 노출되었으며 초각한 파련대공과 솟을 대공을 두어 종도리를 받게 하였다..
[ 농장/농원 ]
개미관광농원
(경기도 안성시)
100평 규모의 넓은 실내공간에서 각종 회의와 연회를 즐길 수 있는 60평 규모의 민박시설과 시원한 원두막이 2동있어 시골의 정취를 물씬 느낄 수 있습니다. 200평 규모 운동장에서 족구,베드민턴 등을 하며 500평 규모의 대잔디밭에서 각종 레크레이션을 할 수 있으며 사슴농원 및 꿩ㆍ공작ㆍ닭ㆍ오리가 있는 조류장은 자연학습장으로 이용되며 2000평 규..
[ 정자 ]
개실마을-도연재,김종직종택
(경상북도 고령군)
개실마을은 62가구 158명이 살고 있는 순박하고 아담한 마을이다. 방문한 날에도 처음보는 외지 사람이어도 눈만 마주 치면 반갑이 인사를 건네는 마을주민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이곳은 조선중렵 영남사림학과 점필재 김종직 선생(1431-1492)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기도 하는데 350여년간 그 전통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며 민속자료 62호 점필재 ..
[ 사찰 ]
개심사
(충청북도 괴산시)
개심사는 전하는 바에 따르면 약 60여년전 칠성면 두천리에 있던 도덕암이 폐사되자 도덕암에 있던 목조여래좌상과 목조관음보살좌상을 옮기고 신축한 사찰이라고 전한다. 개심사 목조여래좌상(木造如來坐像)과 목조관음보살좌상(木造觀音菩薩坐像)은 2구의 각부 조각과 단아한 양식수법이 조선후기의 수작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높이 85cm의 목조여래좌상..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자주묻는질문
질문과답변
전화/결제
공지사항
닫기